본문 바로가기

시선

(2)
테라로사 포스코센터점의 극장형 계단 - 깊은 장면 테라로사 포스코센터점에는 극장형 계단이 있다 삼성역 근처 테라로사 포스코센터점에 갔다. 원하는 원두를 고르고, 추출 방법을 선택하곤 뒤를 돌아봤다. 조금 놀랬다. 검정의, 다소 가파른 그리고 큰 계단이 자리 잡고 있었다. 계단은 위층으로 올라가는 역할을 했고 또 머무르는 장소의 역할을 했다. 이 카페를 설계한 민현준 건축가와 그의 사무소 MPART 건축사사무소 블로그를 들어가 보면 이렇게 설명되어있다. 1층과 2층을 개방하여 극장형 계단을 만들어 이동 동선 겸 머무르는 혹은 이벤트 장소가 되도록 했습니다. ‘극장’하면 보통 좌석 앞에 무대가 있다 처음은 조금 의아했다. 커피를 주문하고 뒤돌아서면 이렇게 강한 존재감으로 계단이 보인다는 게 당황스러웠다. 극장처럼 계단이 쓰이기 위해서는 무대가 되는 공간이 ..
의자란 단 방향의 시선을 갖는 것 아닐까? 금곡교 밑 벤치 탄천을 달리다 이런 사진을 찍었다. 금곡교 다리 기둥 사이에 벤치였다. 기둥은 아치로 되어있었다. 그리고 아치가 도열된 모습을 바라보도록 그 중심에 벤치가 설치되어 있었다. 의자에 앉아 무언가 바라보던 기억 바라보도록 되어있었다. 바라봄, 그 단어가 헬리녹스 체어원을 가지고 공원을 거닐던 기억을 꺼냈다. 올림픽 공원 내 지구촌공원에 머물렀다. 의자는 관목 숲을 등진채 경사로에 두었다. 지구촌공원의 조각상, 벚꽃나무, 보행로를 한동안 바라보고 있었다. 그 공간은 이런 단면을 가졌다. 의자는 단방향의 시선을 동반한다 올림픽 공원에서 접이식 의자를 들고 다녔던 기억은 돗자리를 가지고 다닌 것과 분명 달랐다. 돗자리는 시선의 다방향성을 내포했다. 돗자리에 앉으면 눕기도 하고 사방으로 앉음새를 고..